루리웹에서 받은 철물점 마감제에 대한 질문들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루리웹 회원님이신 송꽃(jupiterwls)님/ 모노매닉(suicide7)님/ Captain-Price(shinkkari)님/ 참방참방=별콩(crazytxi)님/ 곤양아멍멍해봐(arzent) 님/ violet3855(violet3855) 님/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 입니다.
다른 분들이 몇분 더 계셨는데, 쪽지가 삭제 되어서 찾지 못했습니다.
1)사용하시는 '철물점 마감제'는 어느 회사 것을 쓰시나요?
제가 쓰는 마감제는 '영일락카'입니다.
다른 회사 제품도 몇개 사용해 봤는 데...'영일락카'의 마감제가 제일 효과가 좋았습니다.(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철물점 마감제'의 종류는?
'투명'과 '투명 무광' 2종류가 있습니다.
3)'투명 마감제'와 '투명 무광 마감제'의 차이는?
'투명'이라고 적힌 마감제의 느낌은 반무광이나 반유광 정도의 느낌입니다.
'투명 무광'은 말그대로 무광의 느낌이 나며, '탑코트 무광'의 느낌과 유사 합니다.
4)'마감제'의 구입은 어디서?
'투명 무광 마감제'는 시중 철물점에서는 잘팔지 않구요,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셔야 합니다.
쇼핑몰에 들어가셔서 '영일락카'를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단, 주문시에 꼭 '영일락카'로 달라고 하세요.(예전에 다른 회사제품이 온 나쁜 기억이...)
5)마감할때도 세척(이형제 제거)을 해야하나요?
도색 할때를 제외하고는 세척은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런너자국이 신경 쓰이시면...
런너자국 같은 경우는 표면정리를 하시는게 좋겠죠.
사포로 다듬으신 후 무광 마감제 뿌리시면,,,사포자국이 남지 않습니다.
대신에 가는 사포(물사포)로 여러번 사포질 하시는게 좋구요!
이럴 경우는 세척을 하셔야겠죠.
6)파트마다 분리해서 뿌리고 결합하시나요. 아니면 완성체로 멀리서 뿌리시나요?
도색작에 마감을 올리는 경우는 파트별로 적당히 뿌린후, 조립해서 전체적으로 다시 한번 뿌려 줍니다.
가조에 마감을 올리는 경우는 제품에 따라서 선택해 결정합니다.
7)'철물점 마감제'의 건조 시간은?
날씨에 따라 20분에서 1시간 정도면 건조 됩니다만...저는 하루정도 기다린후에 만져 봅니다.
8)마감할때 신경 써야할 부분은?
마감은 날씨(가장 중요하며, 우기에는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와 분무거리, 분무량만 신경쓰시면 그다지 어렵지 않구요,,,정크에 먼저 연습해보세요.
루리웹 회원님이신 송꽃(jupiterwls)님/ 모노매닉(suicide7)님/ Captain-Price(shinkkari)님/ 참방참방=별콩(crazytxi)님/ 곤양아멍멍해봐(arzent) 님/ violet3855(violet3855) 님/들의 질문에 대한 답변 내용 입니다.
다른 분들이 몇분 더 계셨는데, 쪽지가 삭제 되어서 찾지 못했습니다.
1)사용하시는 '철물점 마감제'는 어느 회사 것을 쓰시나요?
제가 쓰는 마감제는 '영일락카'입니다.
다른 회사 제품도 몇개 사용해 봤는 데...'영일락카'의 마감제가 제일 효과가 좋았습니다.(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철물점 마감제'의 종류는?
'투명'과 '투명 무광' 2종류가 있습니다.
3)'투명 마감제'와 '투명 무광 마감제'의 차이는?
'투명'이라고 적힌 마감제의 느낌은 반무광이나 반유광 정도의 느낌입니다.
'투명 무광'은 말그대로 무광의 느낌이 나며, '탑코트 무광'의 느낌과 유사 합니다.
4)'마감제'의 구입은 어디서?
'투명 무광 마감제'는 시중 철물점에서는 잘팔지 않구요,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하셔야 합니다.
쇼핑몰에 들어가셔서 '영일락카'를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단, 주문시에 꼭 '영일락카'로 달라고 하세요.(예전에 다른 회사제품이 온 나쁜 기억이...)
5)마감할때도 세척(이형제 제거)을 해야하나요?
도색 할때를 제외하고는 세척은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런너자국이 신경 쓰이시면...
런너자국 같은 경우는 표면정리를 하시는게 좋겠죠.
사포로 다듬으신 후 무광 마감제 뿌리시면,,,사포자국이 남지 않습니다.
대신에 가는 사포(물사포)로 여러번 사포질 하시는게 좋구요!
이럴 경우는 세척을 하셔야겠죠.
6)파트마다 분리해서 뿌리고 결합하시나요. 아니면 완성체로 멀리서 뿌리시나요?
도색작에 마감을 올리는 경우는 파트별로 적당히 뿌린후, 조립해서 전체적으로 다시 한번 뿌려 줍니다.
가조에 마감을 올리는 경우는 제품에 따라서 선택해 결정합니다.
7)'철물점 마감제'의 건조 시간은?
날씨에 따라 20분에서 1시간 정도면 건조 됩니다만...저는 하루정도 기다린후에 만져 봅니다.
8)마감할때 신경 써야할 부분은?
마감은 날씨(가장 중요하며, 우기에는 사용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와 분무거리, 분무량만 신경쓰시면 그다지 어렵지 않구요,,,정크에 먼저 연습해보세요.
덧글
이제껏 전체 도색할 수 없다면 사포를 댈 수 없지 않은가... 라는 착각에 빠져있었는데, 이런-!
그럼, 아아, 이제 접합선 수정도 해볼 수 있겠다..
다만 접합선 수정을 하기위해 사포질한 자국은 보이지 않게 된답니다.~~
제가 올린 mg 자쿠 f2의 사진은, 어깨쪽에 접합선 수정을 하고 마감만 하였습니다.
근데 에어브라쉬가 있잖아..안될거야 아마 ㅠㅠ
자동차 도색할 때 괜찮은 아이템이 될거 같네요
정보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신다니...부끄럽습니다.
영일회사가 백화현상님에게 상한번 줘야할듯 합니다^^
걍 락카 무상공급을...ㅋ
그리고 철물점락커로 도색하고 프라모델용 마감제 사용해도 문제없는지요?.....
영일 것이 아니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다만 제가 몇몇 다른 회사의 제품을 써본후, 영일것이 분사량이 가장 일정 하더군요.
철물점락커로 도색하고 프라모델용 마감제 사용하셔도 상관이 없을듯 합니다.
(탑코트 마감을 한적이 있었는 데 별 문제 없었습니다...)
혹시 백화현상님은 서페이서 뿌리고 하시는지요? 뿌린뒤 해야하나요? 아님 그냥 생프라에다 해도 되는건가요?
루리웹의 dori 님이시군요.
도색의 기본단계는...
1)프라의 표면정리.(런너자국등을 깔끔하게 사포를 이용하여 정리 합니다.)
2)프라의 세척.(프라에는 사출당시의 이형제라는 기름기가 있습니다. 이형제를 제거해야 도색이 잘먹히고, 도색한것이 나중에 떨어지지 않습니다.)
3)서페이서 사용.
(서페이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 입니다. 밑색의 통일, 도색할 면의 표면정리,도색이 잘 먹히게 해줍니다.)
4)도색.
5)데칼작업이나 먹선.(저는 주로 샤프나 연필을 사용합니다.)
6)마감제 사용.
7)완성.
이 순서대로 도색 한답니다.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언제고 문의 하세요.~~
Mr. SUPER CLEAR 슈퍼클리어 무광 으로 유니콘도색을 해보려합니다. 락카는 노루?인가 그 락카사용할 예정이고요
마감제 설명보니까 백화현상이 꽤나 무서운걸로 알고있습니다^^;; 슈퍼클리어 무광을 주문했는데 도색하면서 사용해도 괜찮을지 고민입니다;;
혹시 여름같은 날씨 (덥고 습한)엔 해도 괜찮은지요?... 그밖에 마감제에 대한 간단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나와있는 마감제 중에서는 백화현상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습니다.
그나마, 탑코트나 철물점 무광락카가 발생빈도가 덜하긴한데...
여름철에는 사용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그래서 요즘 저도 완성작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철물점(공업용) 마감제 사용법 1과
철물점(공업용) 마감제 사용법 2를 참조 하세요.~~
있다면 가르쳐 주세요~
날씨가 건조한 날에 다시 마감제를 뿌려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래도 백화현상이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새로 도색 하셔야 합니다.
2)조립 후 마감만한 경우.
역시 건조한 날에 다시 마감제를 뿌려 봅니다.
그래도 백화현상이 없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물사포로 백화현상 난 부분을 조심스레 밀어 내시고.
건조한 날에 다시 무광 마감 하시면 표 안납니다.~~
에구...제가 설명을 너무 간단하게 한 모양이군요...
아직 스프레이라는놈을 제대로 써보지 않았지만 웬지 백화현상님 글을 보니 욕구가 팍팍 솟아오르는군요. 마침 아버지꼐서 영일락카 흰색 들고계시던데 기회봐서 한번 써봐야겠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뭐든지 새로 도전해보시는 것은 좋은 일인거 같습니다.
일단 제가 올린 설명대로 주의사항 꼼꼼이 읽어보시고, 몸에 해롭지 않게 방비하시고 도전 하세요.~~
그리고, 혹여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글 남겨주세요.
좀 늦더라도 꼭 답변 달아 드리겠습니다.~~
에나멜이나 먹선펜으로하면 마감재에 녹아버릴거같은데
노하우가 있으시면 전수좀해주세요 ㅎㅎ
전 개인적으로 짙은 먹선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특히 휜색 런너위에는 더더욱...
보통 도색후에 올리는 먹선은 샤프심이나 연필을 뾰족하게 갈아서 사용합니다.
만약, 에너멜 먹선을 넣으시려면, 마감재 올리시기 전에 넣어주시고 마감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또 문의사항 있으시면 들려주세요.~~
도데체 런너자국같은건 어떻게 저렇게 깔끔하게 지우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그냥 단순히 사포로만 갈아내시는건가요? 그럼 사포갈아버린 곳은 색이 좀 바뀌던데;;
그상태에서 무광스프레를 뿌리면 원래대로 되는건가요?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위에 설명해드렸듯이...
사포를 사용하신 후 색이 좀 바꿔더라도 무광 마감제 사용하시면 거의 표가 나지 않는답니다.~~
그게 마감제의 묘미이기도 하지요.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습니다.
앞으로도 자주 방문해주세요.~~ㅎ
백화현상님 덕분에 저도 드디어 도색이란걸 해볼 용기가 나네요!
이 블로그를 알게되서 얼마나 좋은지 ㅎ
저도 자쿠를 은근히 좋아하지만 ㅎ 만들어놓으신 자쿠들 감상하고 있자니 ㅎ
더욱더 좋아지네요 ㅎ 특히 마인레이어가 제일 끌려요 ㅋ 시원한 답변 감사합니다~
심심할때마다 언제나 들려서 작품들 감상하도록 할게요 ㅎㅎ
멋진 도색작 많이 만들어주시구요,자주 놀러오세요.~
앞으로 저역시 더 많은 자쿠를 만들어서 놀러오심에 보답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제가 궁금한게, 접합선 수정을 위해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몇일이나 건조를 해야 다시 틈이 벌어지지 않을까요? 또, 노랗게 변하는 걸 막을려면 마감제를 써야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는데, 다른 방법은 없는지요?
답변이 많이 늦어 죄송합니다.~~
일단 쓰신 글을 읽어보니 접착제의 사용이 잘못된거 같습니다.
접합선 수정할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수지'가 아니라, '무수지'접착제입니다.
접합선을 수정하는 방법은...
1)접착할 부분의 암수 결합핀을 적당히 잘라주세요.
이 부분이 빡빡할 경우...접합되는 일부분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서 뜨는 부분이 발생합니다.
그럴 경우 잘붙은 부분과는 다르게 홈이 패이게 되는 것입니다.
2)암수핀을 살짝 결합후 빈틈으로 '무수지'접착제를 흘려 넣습니다.
3)힘을 주어 접합할 부분을 눌러서 붙여줍니다.(접착제에 의해 플라스틱 접합면이 녹으면서 밖으로 플라스틱이 밀려나옵니다.)
4)적당히 3~4시간을 말려주시고
5)완전히 마른 후에 아트나이프를 사용해서 일정부분이 남을때까지 커팅해주세요.
6)사포를 이용하여 마무리 하시면 됩니다.
황변현상은...
직사광선이 비치는 곳에 오래 프라를 놔두면 발생할수있습니다.
보보보노 님의 경우에는 직접 보지않아 정확히는 알수 없지만...'수지'접착제로 인한 황변현상이 아닐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도움이 되는 답변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또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글 올려주세요.~
전 지금껏 무수지로 알고 접합선 수정할때도 그렇게 써왔습니다.
mg자쿠F2의 왼쪽어깨 접합선 수정도 무수지로 접합한 것입니다.
참고하시고, 무수지로 한번 사용해 보시길 권해 봅니다.~
철물점 락카가 모형용 보다는 독하다고 그러는데 혹시 도색면이 녹아서 흘러내리지는 않는지요?
그리고 유광 슈퍼클리어 마감제랑 비교해서 유광의 정도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덕분에 많은 도움 받아 갑니다...^^
그런데, 에어브러쉬로 작업하시는데...궂이 캔스프레이 마감재를 사용하실 필요가 있으신지요?
에어브러쉬로 뿌리시는게 더 간단하지 않나요??
만약, 철물점 마감재를 사용하실 경우...도색면이 흘러내리는 경우는 없습니다.
지금껏 도색 작업한 것들은 모두 철물점 마감재를 사용했거든요.~~
유광 슈퍼클리어 마감재랑 비교 하자면...철물점 마감제 '투명'은 약간 반광에 가깝습니다.
유광 슈퍼클리어 마감재가 더 반짝거린다고 보시면 된답니다.~~ㅎ
철물점 유광마감재는 괜찮을까 해서 질문 드렸습니다....
투명무광이 백화현상이 거의 없다고 하셨는데, 투명유광도 마찬가지로 백화현상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비용이나 간편함에 있어서 철물점 마감재로 전환 해볼까 고민중이라서요.
다만...
탑코트나 철물점 마감재가 발생빈도가 현저히 낮다는 것이지요.
특히, 습기가 많은 날이나 우기에 사용하지 않으신다면...성공률이 상당히 높습니다.
단, 탑코트는 피막이 너무 약하기에 저는 철물점 마감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격 싸고 양 많고...ㅎ
또 문의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들려주세요.~~